과학 썸네일형 리스트형 [취재후기]청주 방사광가속기, 라온(RAON) 교훈 삼아 성공적 사업으로 평가받아야 방사광가속기의 청주 유치 소식에 충청권의 모두가 환호만.... 다들 핑크빛으로만 보고 계시는데, 왠지 불안하기만 한 이유는 뭘까. 아마 중이온 가속기 때문이겠지. 그래서 중이온가속기 사업의 처음부터 다시 되짚어 봤다. 문제는 뭐였을까? 어떻게 진행됐을까? 지금은 잘 되고 있을까? 역시 큰 사업은 정권에 따라 부침이 심했다. 1조가 넘는 사업이 이렇게 누더기라니. 원래는 청주 방사광가속기 잘해보자는 의미로 글을 쓰기 시작했는데 어쩌다 보니 중이온가속기 까는 기사가 되어 버렸다. 관계자분들께는 죄송합니다만 이런 내용도 좀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같은 문제가 반복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말이지. 그런데 이 기사가 나간 후에 충북일보 주필이신 분께서 독후감을 기가 막히게 써 주셨다. 그건 저 아래 .. 더보기 인간의 피조물에서 친구로 거듭나는 로봇 1970~80년대 유년시절을 보낸 대한민국 남성 대부분은 로봇에 대한 애착이 남다르다. 최근에도 ‘또봇’, ‘터닝메카드’ 등 유아를 위한 로봇 애니메이션이 아이들의 인기를 얻고 있다. 하지만 아빠들의 어린 시절과 비교할 것이 못 된다. 당시 어린이들은 ‘짱가’, ‘마징가 Z’, 메칸더 V 같은 일본산 로봇부터 국산 로봇 ‘태권 V’까지 사람을 닮은 거대 기계에 매료돼 있었다. 학교 앞 문방구에는 이들을 닮은 장난감이 즐비했고 공책, 필통 등 필기구는 온통 로봇 천지였다. 재미있는 건 로봇 파일럿보다 로봇을 만든 과학자들의 인기가 높았다는 사실이다. 당시 어린이들에게 인기 있는 장래희망 중 로봇 공학자가 많은 수를 차지했다. 애니메이션 속 국방과학연구소에서 연구하는 남 박사, 김 박사들은 항상 안경에 하얀.. 더보기 [사이언스뉴스]영아 질식사 방지용 에어백 조끼 개발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서 아기가 업드려 자다가 큰일 날 수 있는 상황을 막아주는 에어백 조끼를 개발했습니다. 아기를 키우시는 부모님은 관심있게 봐주세요. 그런데, 언론 보도를 보니 뭔가 좀 이상하네요. SIDS? SUID? 살짝 오보 냄새가 납니다. 김 기자가 연구 결과 소개와 함께 팩트 체크도 함께 들어갑니다. ---------------------------------------------------------------- 소개하고 싶은 과학 소식을 댓글로 알려주세요. 기타 영상이나 내용에 대한 질문, 의견도 많이 올려주세요. 울트라고릴라 TV에서는 '위클리 사이언스 뉴스'나 '영화좀바이오'에 출연하거나 참여하고 싶은 과학도를 언제나 환영합니다. '위클리 사이언스 뉴스'는 시청자 여러분과 함께 만들어 갑.. 더보기 [사이언스뉴스]인공지능 신흥강자 AI 반도체 분야서 ETRI 도약 김 기자의 위클리사이언스뉴스. 20번째 이야기는 ETRI가 새롭게 개발한 AI 칩에 대해서 알려드립니다. 알파고는 사실 10억원짜리 네트워크 컴퓨터. 인공지능 발전이 지금보다 더 활발해지려면 더 작고 전기도 덜 먹는 저렴한 키트가 필요한데요. 구글부터 화웨이까지 국경을 뛰어넘어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는 이 분야에 ETRI가 멋지게 도전장을 던졌습니다. ---------------------------------------------------------------- 소개하고 싶은 과학 소식을 댓글로 알려주세요. 기타 영상이나 내용에 대한 질문, 의견도 많이 올려주세요. 울트라고릴라 TV에서는 '위클리 사이언스 뉴스'나 '영화좀바이오'에 출연하거나 참여하고 싶은 과학도를 언제나 환영합니다. '위클리 사이언.. 더보기 "초중고 개학하면 대구지역 코로나19 어찌 될까?", 위클리 사이언스 뉴스 '위클리 사이언스 뉴스' 19회 소식입니다. ---------------------------------------------------------------- 학생들 개학이 큰 이슈죠. 개학을 하게되면 도대체 어떻게 되는 걸까? 국가수리과학연구소가 대구 지역을 모델로 시뮬레이션을 돌려봤습니다. 확진자 몇 명, 마지막 확진자가 나오는 날짜까지 예상하고 있습니다. 급하신분은 2:30 부분부터 시청해 주세요. ---------------------------------------------------------------- 소개하고 싶은 과학 소식을 댓글로 알려주세요. 기타 영상이나 내용에 대한 질문, 의견도 많이 올려주세요. 울트라고릴라 TV에서는 '위클리 사이언스 뉴스'나 '영화좀바이오'에 출연하거나 참.. 더보기 "새로운 환경에서 겪는 공포, 원인 찾았다" 외 https://youtu.be/GJQrqPfJ4Iw '위클리 사이언스 뉴스' 2020년 2월 둘째 주 과학소식 모음입니다. ---------------------------------------------------------------- 0:23 - 새로운 환경에서 겪는 공포, 원인 찾았다(#한국뇌연구원) 1:28 - 간질 발작 실시간 감시 가능 센서 개발(#기초과학연구원) 3:11 - 소금 섭취 제어 매커니즘 규명 외(#한국과학기술원) 4:34 - 압력 변화까지 쉽게 알아낼 수 있는 전자피부 기술 개발(#한국전자통신연구원) 5:43 - 효율적 리그닌 제거 기술로 바이오연료 생산 개선(#한국과학기술연구원) 6:42 - 플렉시블 기기용 플렉시블 복합산화물 박막 제작(#한국원자력연구원) 7:04 - 친환경.. 더보기 '좀비 바이러스는 세균이 아닌겨?', 영화좀바이오 '좀비영화 특집' https://youtu.be/eEJhb8-rJIU YouTube www.youtube.com 영화좀바이오 시즌2의 첫 이야기는 좀비영화 특집입니다. 좀비 바이러스와 비슷한 바이러스는 정말 있을까요? 바이러스는 세균과 다르다는데. 광우병은 바이러스가 아니라고? 방송을 보시고 댓글도 많이 달아주세요. 시즌2부터는 시청자 참여 코너가 있습니다. 질문이나 다뤘으면 하는 주제나 영화가 있으면 댓글 남겨 주세요. 영상자료 정보 : 월드워 Z(Paramount Pictures) 워킹데드(AMC) 레지던트이블(Columbia Tristar Pictures) 더보기 '영화좀바이오' 스페셜 비하인드 - 아직 못다 한 이야기 https://youtu.be/HTeaHcSdqhE 영화좀바이오 시즌1 마지막 편입니다. 그동안 꼭꼭 숨겨 뒀던 비하인드 컷 모음입니다., NG 컷만 있는 것 아닙니다. 미쳐 전하지 못한 과학이야기도 함께 준비했습니다. 다음주부터는 '영화좀바이오' 시즌 2가 시작됩니다. 많이 기대해 주세요. 방송을 보시고 댓글도 많이 달아주세요. 더보기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