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변호인' 속 명대사
"국가란 국민입니다."
대한민국 헌법 제1조
①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②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법정에서 외치던 송우석 변호사의 일갈. 영화 속 이 한 대사로 대한민국은 들썩였다.
"맞아, 국가는 국민이었어."
대한민국 헌법 제1조는 법치국가인 대한민국에서 가장 기본이고 핵심인 법 조항이다. 모든 법은 이 1항과 2항을 기본으로 만들어지고 지켜진다고 봐야 한다. 하지만, 현실 속 우리는 정말 그런 나라에서 살고 있는가? 만약 그랬다면 송우석 변호사가 온 힘을 다해 소리치지도 않았을 것이고 영화를 본 사람들도 가슴이 두근대지 않았을 거다.
한 번의 강력한 울림 이후 우리는 얼마나 변했나. 우리는 정말 국민이 국가인 나라에 살고 있는가? 아니면 아직도 권력자 일부가 사기업처럼 운영하는 곳에서 살고 있는가? 아니 나는 과연 내가 국가라는 자부심을 가지며 살고 있는지 자문하고 싶은 요즘이다.
헬조선, 탈조선이라는 단어가 유행이 돼버린 대한민국. 사람들은 자신을 대한민국, 한국이라고 부르지도 않는다. 스스로를 아직도 조선이란 과거에 가둬두고 싶어 한다. 조선은 '자유민주주의' 국가가 아닌 '절대군주제'다. 그저 '민본주의'를 기본으로 '백성이 국가의 근간'이라고 외칠뿐이었다.
일제강점기를 견디고 이겨내기 위해 수많은 젊은 피가 뿌려졌고, 이후 다시 독재자들에게서 '민주주의'를 지켜내기 위해 또 한 번 젊은이들이 총칼 앞에 쓰러져 갔다. 우리는 그렇게 '민주주의'를 이뤄냈지만, 아직 '절대군주제' 속에서 살고 있는 느낌이다. 아니 그렇게 살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다수인 느낌마저 든다. 어쩌면 헌법 1조 1항과 2항을 부담스러워하고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은 분명 기분 탓일 거다.
난 아직 내가 국가인 나라에서 살고 싶다. 위정자들에게 모든 걸 맡긴 후 던저주는 먹이만 먹으며 살긴 싫다. 제발 다음 선거는 '누가 나에게 더 큰 먹이를 던저줄 것인가?'를 보고 투표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 평점
- 9.3 (2013.12.18 개봉)
- 감독
- 양우석
- 출연
- 송강호, 김영애, 오달수, 곽도원, 임시완, 송영창, 정원중, 조민기, 이항나, 이성민, 차광수, 한기중, 심희섭, 김동현, 류수영, 박수영, 조완기, 차은재, 최주희, 주명철, 조선묵, 유하복, 김봉환, 지건우, 최원, 최현, 최정현, 이정은, 김가영, 황건, 정원조, 성창호, 박상현, 양도현, 권오진, 정준원, 장우진, 김호진, 이설구, 설창희, 정훈석, 이현정, 김승태
'블로그 > 오늘 한 꼭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강물에 사로잡혔다 (0) | 2024.01.15 |
---|---|
난 빛이 두렵지 않아 (1) | 2024.01.14 |
졸라 고독하구먼 (1) | 2024.01.12 |
'尹氏'는 정말 하대 표현인가? (0) | 2023.03.21 |
독도 큰일 났다. 대통령이 일본을 이해한단다. (0) | 2023.03.17 |